분류 전체보기(61)
-
한옥 지붕 종류 알아보기
한옥 지붕은 여러 종류가 있다그중에서 한옥의 대표적인 지붕 3종류를 알아보자첫 번째 한옥 지붕 맞배지붕 맞배지붕은 ㅅ자 모양으로용마루와 내림마루만 있다. 두 번째 한옥 지붕팔작지붕 팔작지붕은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로 되어 있다.팔작지붕은 우리가 생각하는 대표적인 한옥 지붕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 세 번째 한옥 지붕우진각 우진각은 용마루와 추녀마루로만 되어 있다. 한 번 더 정리하자면용마루는 지붕의 상단이다.내림마루는 직선으로 바로 내려오는 것이 내림마루이다.추녀마루는 사선으로 바로 내려오는 것이 추녀마루이다.
2025.03.07 -
한옥 용어 '보' 알아보기
보란 지붕이나 상부구조에서 오는 하중을 받기 위해기둥과 기둥사이에 걸친 구조 부재를 말한다. 내부 공간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면서 외벽과 수평방향인도리와는 직각으로 만나는 부재이다.집의 구조나 규모에 따라서 다양한 보가 존재한다.대들보, 종보, 툇보, 우미량, 충량, 귀보 등등 많은 보가 있다. 가장 크고 중심인 부재를 대들보라고 한다.대들보는 가장 중심에서 집을 짊어지고 있는 튼튼한 부재이다.주로 한옥의 중심인 대청마루 가운데에다른 곳보다 크고 곧은 부재로 만들어진 대들보를 거는데대들보 근처는 벽이나 천장을 꾸미지 않아서보의 형태가 다 드러나게 한다.삼량집에서는 앞뒤 기둥을 연결하는 보가 하나만 걸린다.보가 하나만 걸릴 때는 대들보라고 부를 수 있다.그런데 오량집이 되면 대들보 ..
2025.03.06 -
한옥용어 '툇마루와 쪽마루'
툇마루 오량,칠량집의 고주와 평주사이를 퇴칸이라고 하는데 퇴칸에 설치되는 마루를 툇마루이다.보통 대청마루와 붙어 있는 경우도 있고 복도처럼 되어 있는 행태도 있다.한옥은 여름과 겨울을 동시에 나야 하기 때문에 내외부 공간 사이에 완충공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이 완충공간이 바로 퇴이고 퇴에 깔리는 마루가 툇마루이다.툇마루는 외부에 개방되어 있으면서 안방과 건넌방, 부엌 등의 동선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밖에서 안으로 들어갈 때 잠시 걸터앉아 옷도 털고 신발도 정리할 수 있는 생활의 완충공간이 되기도 한다.또 추운 겨울 밖에서 방안으로 들어갈때 느끼는 갑작스런 온도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신체적, 환경적 완충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그러므로 툇마루는 쓰임이 별로 없는 버려진 공간처럼 보이지만 한옥에..
2025.03.05 -
한옥 용어 '도리' 알아보기
도리는 한옥의 골격을 이루는 가구재에서 가장 위에 놓이는 부재입니다.서까래로 전달된 지붕의 하중을 받치는 역할을 합니다. 도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서 이름이 정해집니다.기둥 위에 놓이는 도리를 "주심도리"라고 하고건물의 최상 부에 놓이는 도리를 "종도리"주심도리와 종도리 사이에 놓이는 도리를 "중도리"라고 합니다. "상량을 올렸다"라는 말은 종도리를 다 놓았다는 말입니다.상량문이나 기문을 종도리에 바로 아래에 씁니다.종도리는 마룻도리와 마룻대라고 불리기도 합니다.그만큼 중요한 부재임을 말합니다.한옥의 규모를 이야기할 때삼량집, 오량집 등으로 불립니다.여기서 삼(3), 오(5)의 숫자가 도리의 개수를 뜻합니다.요즘 지어지는 한옥은 대부분(약 80%) 오량집으로 지어진다..
2025.03.04 -
전통방식의 길이 단위
millimeter,centimeter 등등 요즘은 외국에서 들어온 단위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죠.하지만 옛날에는 어떤 방식의 길이 단위를 사용하였는지 궁금해졌어요.그래서 간단하게 적어보겠습니다.1리 = 0.303 mm = 0.0303 cm1푼 = 3.03 mm = 0.303 cm1치 = 30.3 mm = 3.03 cm1자 = 303 mm = 30.03 cm우리나라 속담에 "세치 혀가 사람 잡는다" 라는 속담이 있죠!여기서 나오는 세치가 위의 단위입니다.사람의 혀가 대략 9mm된다는 거죠!평창한옥학교에서는 치 단위로 되어 있는 곱자를 사용하여 먹금을 긋고 있어요생각보다 유용하고 편리해요
2025.03.03 -
나무의 원구,벌구,말구 알아보기
벌구는 처음 자르는 부분을 벌구라고 한다.말구는 시작지점의 끝 부분을 말구라고 한다.여기서 원구가 등장하는데 매우 어지럽다시작지점을 원구라고 하고 끝나는 지점은 똑같이 말구라고 한다.벌구는 맨처음 자른 부분만 벌구라고 하는 것이다.벌구이며 원구이고여기서 하나 더 어지러워 지는데중간 통나무 위쪽 입장에서 원구이다.그래서 원구이며 말구 두개의 이름이 붙는다. 벌목한 통나무에 통나무의 크기를 알아보기 쉽게치 단위로 말구쪽 수심에 숫자로 표기한다.
2025.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