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용어 '홑처마와 겹처마' 알아보기

2025. 2. 28. 07:30목수/한옥 용어

홑처마

서까래가 하나로 되어있는 홑처마가 처마의 기본형, 일반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홑처마는 장식적인 요소 없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소박한 멋을 가지고 있다.

겹처마

홑처마에서 서까래 위에 평고대를 걸고 부연을 설치해 처마를 더 멀리 뺀 형태가 겹처마이다.

홑처마와 겹처마의 차이는 부연의 유무이다.

홑처마에 비해 겹처마는 장식적 요소를 포함한 경우가 많다.

부연이란?

한옥 지붕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서까래 끝 위에 덧대 얹은 짧고 각지 서까래이다.

부연은 나무로 만들어진 처마 끝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겼다.

비나 눈으로 부터 처마를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부연은 햇빛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주택은 장식적인 효과를 주기위해 겹처마를 사용하기도 하며

사찰은 아름다운 색으로 단청을 그려 화려한 장식미를 더 했다.

궁궐의 경우 정전에는 부연을 설치하여 겹처마로

부속채는 규모가 크더라도 홑처마로 지었다.

한옥들을 보면 대체로

안채에는 홑처마

사랑채는 겹처마를 사용했다.

집이 높은 경우에 처마가 비를 막는 데에 한계가 있다.

비가 벽이나 집 안으로 들이쳐서 벽체와 나무가 손상되기 쉽다.

그래서 처마가 더 멀리 뻗어져 있는 겹처마를 사용한다.

도시 한옥의 특성상 집과 집 사이의 거리가 좁다

겹처마를 구성할 공간이 없는 때가 있다.

공간이 부족한 부분은 홑처마로 짭게 구성하고

여유가 있는 측은 겹처마로 구성한기도 한다.

겹처마의 특징

1.장식적인 요소

2.비를 막아주는 용도

3.건물의 격 표현

 

'목수 > 한옥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방식의 길이 단위  (0) 2025.03.03
나무의 원구,벌구,말구 알아보기  (0) 2025.03.02
한옥 용어 '초석' 알아보기  (0) 2025.03.01
한옥 용어 '한옥의 창호' 알아보기  (0) 2025.02.27
한옥 용어 '머름'  (0)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