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직업한옥학교 - 한옥반 기초 종합

2025. 2. 18. 07:00목수/대목수

 

드디어 기다리던 평창에 첫눈이 왔어요

겨울의 설렘이 가득 느껴졌어요

순백의 눈으로 물든 평창 마을들을 바라보니 다른나라에 온 기분이 마저 들었죠.

첫눈이 선사하는 특별한 순간, 눈부신 설경을 바라보며

배울 수 있어 무척 설레이고 기뻐요.

한옥과 대목수 과정의 기초로 어떤 것들을 배웠는지

이번편으로 모두 소개할게요

원기둥

 

먼저 투박한 각재를 하나 받아서 정각재를 먼저 만들어야 해요.

앞으로의 기초이자 기본적인 것이죠.

"정각재" 제가 생각해도 아주 중요한 부분이죠.

목공에서는 직각이 굉장히 중요하니깐요.

 

 

대패질 전에 먼저 중심선을 찾아서 양 마구리면에 중심을 찍어주고 다림추로 수직으로 반대편도

중심을 맞추어주고 모든 면에 먹줄을 튕겨줍니다.

그러면 십방먹이 만들어지고 정사각 80mm로 만들려면 십방먹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40mm 점찍

고 다림추로 수직 만들어 줍니다.

그러면 어디까지 대패질해야 할지 정해졌죠.

먹줄로 선들을 이어주고 대패질을 시작합니다.

십방먹

앞으로 작업하는 모든 각재에는 위 사진처럼 십방먹을 그어 줍니다.

첫 번째 단계인 4각형을 만들어졌죠.

십방먹의 중심과 중심을 대각으로 이어줍니다.

그리고 대각으로 이어진 곳의 중심을 찾고 각재의 중심이고 대각의 중심을 끝까지 먹칼로 이어줍니다.

 그 연장선에서 절반(반지름) 만큼의 거리에 점을 찍어주고 직각자로 직각을 만들어 선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또다시 대패질로 제거하고 대패가 끝나면 먹줄을 튕겨줍니다.

나머지 4개도 반복하면 8각

나머지 그 8각도 모든 면을 반복하고 또 반복하면 16각

그 16각을 또 또 반복해서 32각

32각쯤 되면 반지름 값이 보이지도 않아요.

그걸 반복해서 완성한 녀석이 아래 녀석입니다.

32각 원기둥

 

엇턱 빗이음

 

 

 

지금까지는 대패, 톱, 끌의 사용을 익혔다면 본격적으로 기초로 돌입하였어요.

보통 학원에서는 연귀맞춤이면 연귀만 하는데 이건 연귀에 턱도 있어서 2개를 동시에 해야 해요.

기초이신 동기분들이 많이 어려워하셨어요.

그리고 평창직업한옥학교가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체계적이라 놀랐어요.

엇턱 빗이음은 처마에 사용해요.

처마는 곡선 형태인데요.

도면을 보시면 10mm 꺾이는 부분이 있어요.

10mm 부분이 있어 곡선 형태로 움직일 수 있고

아래에서 보였을 때 보이지 않는다고 해요.

그래서 곡선 형태인 처마에 엇턱 빗이음을 사용한다고 해요.

엇턱 빗이음 도면

 

 
 
 

왕찌맞춤 납도리

 

  

 

  

맞춤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많이 있어요.

그런데 왕찌맞춤 납도리는 처음 들었어요.

먼저 납도리는 ㅁ(사각) 형태를 말해요.

굴도리는 ㅇ(원) 형태를 말해요.

오늘 할 것은 납도리 즉 ㅁ(사각)을 할 거예요.

왕찌맞춤 납도리 완성

 

교수님이 샤프와 볼펜, 연필을 금지하였어요.

전에 만들었던 공구인 대나무 먹칼로 선을 그어야 했어요.

먹칼 만드는 게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삼분턱

삼분턱 도면

 

교수님의 설명이 점점 짧아졌어요.

사실 그냥 도면 보고하면 되는 거죠.

대각 선에 먹을 놓을 때 연귀자를 활용한다는 것

도면 상에 소수점은 연귀자를 활용했을 때 나오는 수치인 거죠.

삼분턱 완성

왕찌맞춤 굴도리

 
왕찌맞춤 굴도리 도면

 

각재에서 원형으로 만드는 시간이 엄청 오래 걸렸고

나머지는 오래 걸리지 않았어요.

옆면에 저 곡선 먹금 놓는 게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이라 새로웠어요.

왕찌맞춤 굴도리 조립 전
 
조립 후
 

사실 이번에는 실수가 있었어요.

하지만 교수님 몰래 목공용 본드를 슥~ 사용했어요.

장혀수장 민도리 접합

 

왕찌맞춤 굴도리가 끝나자 사람당 각재 5개가 준비되어 있었어요.

도면과 바로 전 기수의 완성작을 보여 주셨어요.

어후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어요.

굴도리를 또 할 생각에 겁이 났어요.

이번에는 도면도 7장이었고 '기초 소목의 마지막 왕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기둥 도면
보아지 도면
정혀 도면
보 도면
도리 도면

마지막 왕을 끝내기까지 일주일의 시간이 걸렸어요.

작은 목재로 큰 한옥의 부분부분들을 만들어 보았어요.

지금까지가 기초를 배운 것이며

다음 수업은 본격적으로 한옥을 만들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