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39)
-
전통방식의 길이 단위
millimeter,centimeter 등등 요즘은 외국에서 들어온 단위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죠.하지만 옛날에는 어떤 방식의 길이 단위를 사용하였는지 궁금해졌어요.그래서 간단하게 적어보겠습니다.1리 = 0.303 mm = 0.0303 cm1푼 = 3.03 mm = 0.303 cm1치 = 30.3 mm = 3.03 cm1자 = 303 mm = 30.03 cm우리나라 속담에 "세치 혀가 사람 잡는다" 라는 속담이 있죠!여기서 나오는 세치가 위의 단위입니다.사람의 혀가 대략 9mm된다는 거죠!평창한옥학교에서는 치 단위로 되어 있는 곱자를 사용하여 먹금을 긋고 있어요생각보다 유용하고 편리해요
2025.03.03 -
나무의 원구,벌구,말구 알아보기
벌구는 처음 자르는 부분을 벌구라고 한다.말구는 시작지점의 끝 부분을 말구라고 한다.여기서 원구가 등장하는데 매우 어지럽다시작지점을 원구라고 하고 끝나는 지점은 똑같이 말구라고 한다.벌구는 맨처음 자른 부분만 벌구라고 하는 것이다.벌구이며 원구이고여기서 하나 더 어지러워 지는데중간 통나무 위쪽 입장에서 원구이다.그래서 원구이며 말구 두개의 이름이 붙는다. 벌목한 통나무에 통나무의 크기를 알아보기 쉽게치 단위로 말구쪽 수심에 숫자로 표기한다.
2025.03.02 -
한옥 용어 '초석' 알아보기
'초석'은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 주는 부재이다.건물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주초'라고도 불린다.초석의 종류가공석 초석사다리형 초석 : 18세기 이후 살림집에서 많이 사용되었음방형 초석 : 사각기둥의 모양 방형형태의 초석원형 초석 : 원기둥에 맞는 원형형태의 초석다각형 초석 : 궁궐이나 사찰에서는 팔각, 육각기둥에 맞춘 초석초석과 기둥사이에 소금을 넣는다.소금을 넣는 이유는 방충방부의 역할로 기둥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2025.03.01 -
한옥용어 '홑처마와 겹처마' 알아보기
홑처마서까래가 하나로 되어있는 홑처마가 처마의 기본형, 일반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홑처마는 장식적인 요소 없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소박한 멋을 가지고 있다.겹처마홑처마에서 서까래 위에 평고대를 걸고 부연을 설치해 처마를 더 멀리 뺀 형태가 겹처마이다.홑처마와 겹처마의 차이는 부연의 유무이다.홑처마에 비해 겹처마는 장식적 요소를 포함한 경우가 많다.부연이란?한옥 지붕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서까래 끝 위에 덧대 얹은 짧고 각지 서까래이다.부연은 나무로 만들어진 처마 끝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겼다.비나 눈으로 부터 처마를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부연은 햇빛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주택은 장식적인 효과를 주기위해 겹처마를 사용하기도 하며사찰은 ..
2025.02.28 -
한옥 용어 '한옥의 창호' 알아보기
창호 문의 여닫는 방식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데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하자면쌍창, 세살여닫이창은 가장 외부의 창이며전통적으로는 외부에 한지를 바르지만현대에서는 유리창으로 한다사창은 방충망의 역할이며현대에서는 방충망을 사용한다.영창은 커튼의 역할을 한다.영창은 한지를 얇게 발라서 가벼운 채광의 역할은 한다.흑창(암막커튼의 역할)쌍창과 영창 안쪽에 설치한 두 짝의 미닫이창으로서 실내에 들어오는 빛을 차단 및 보온의 역할을 한다.두껍닫이, 갑창이라고 불린다.갑창은 방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열리는 용도로 만든 창이 아니라 다른 창들이 안 보이게 하는 가벽 역할을 한다.필요에 따라 한두 개의 창이 더 설치도 된다
2025.02.27 -
한옥 용어 '머름'
머름이란?창호 하부에 가구식으로 짜여진 나무 부재머름은 크게머름상방머름하방머름청판머름동자어의동자머름 높이는 팔을 걸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인30~50cm 정도의 높이벽 아래에 설치 하는 것으로 문에는 설치 할 수 없다머름의 기능한옥의 창 하부의 미관온돌방의 온기가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방풍,방온 기능외부에서 방바닥을 들여다 볼 수 없게 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https://folkency.nfm.go.kr/topic/%EB%A8%B8%EB%A6%8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folkency.nfm.go.kr 머름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위 링크 참고
2025.02.26